천문학정보계-AOP Profile Banner
천문학정보계-AOP Profile
천문학정보계-AOP

@Astro_inform

12,481
Followers
25
Following
554
Media
2,113
Statuses

천문학 관련 정보계입니다. 천문/물리 전공생 2명이 운영합니다.

Joined April 2020
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Pinned Tweet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4 years
※메인트윗※ 페이스북에서 천체사진팀으로 활동하던 것을, 천문학 관련 지식/정보계로 이용하고자 옮겨왔습니다. 일/월식, 유성우, 혜성, 슈퍼문과 같은 천문정보는 물론, 다양한 천문학 관련 지식을 올립니다.(비주기적 업로드) 관리자는 모두 천문학 전공생입니다. 수정건의는 환영입니다.
Tweet media one
3
13
6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비현실적이지요? 합성이라 그렇습니다.
6
20K
12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폰카로 달사진 찍는 과정입니다~!~!! 중간에 달 위에 밝은 목성도 보이네요 (*´▽`)
11
8K
10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8 months
오늘...대박이네요ㅣ
Tweet media one
6
3K
8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오늘의 토성입니다!!!
7
4K
7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살아서 만나요 여러분
Tweet media one
3
10K
7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지금 온 SNS의 뜨거운 감자로 대두되고 있는 행성 정렬, 다들 16일 새벽을 말하고 있는데요. 사실 정말 아름다운 배열을 볼 수 있는 날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6월 24일 새벽 4시30분, 6월 25일 새벽 4시30분 경입니다.
Tweet media one
6
10K
6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오는 11월 8일, '개기월식'이 펼쳐집니다. 월식은 일식에 비해서 그 빈도가 높긴 하지만, 지금까지는 기상이 좋지 않아 근 4년 간 한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관측이 불가능했습니다. 약 2년 전에는 구름 사이로 희미하게 관측되었다고는 하네요.
Tweet media one
3
6K
5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저희가 moon 관측을 좋아하긴 합니다만
Tweet media one
7
4K
5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한낮?의 토성
0
3K
5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3 months
4년 전... 비대면 강의 "놈펭이"로 유명하시던 모 교수님께서,,, 이번 만우절에는 이런 재미를 선사하셨다고 하네요 ㅋㅋㅋㅋㅋㅋ 교수님 ㅠㅠㅠㅠ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2
11K
5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3개월만에 또 바뀌네..
Tweet media one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태양계 위성 개수 서열이 바뀌었습니다. 저도 수업 때 헷갈리겠네요.
1
2K
1K
2
8K
4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3 months
한국에서 보이는 일식은 언제일까요? 부분일식은 2032년 11월 3일(한반도 전역) 개기일식은 2035년 9월 2일(강원도 고성) 금환일식은 2041년 10월25일(독도) 입니다. 심지어 금환일식이 일어나는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이라고 합니다. 독도에서 독도의 날에 금환일식을 볼 수 있길 바래봅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4
7K
4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months
어제 X5급 플레어가 폭발했습니다. 최근 얼마 전 폭발한 플레어의 영향으로 G5 경보까지 올라가며 전 세계 이곳저곳에서 오로라 관측 제보가 잇따르고있습니다. 사진은 한국보다 위도가 낮은 플로리다와 조지아의 사진입니다. 현재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권 국가들에서도 관측된다고합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7
8K
4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달이 이쁘네요.. 오늘 흐릴줄알고 망원경 안가지고왔더니...흑흑 폰카밖에 없군요ㅜ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3
3K
4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 별 보는 사람들 * 🚗& 🔭📷 아마추어 천문학자 * &🖥 🔭📷 관측천문학자 &🖥 이론천문학자 &🍺&🍺&🍺&🍺&🍺&🍺&🍺&🍺&🍺 천문학 동아리
@swugyo
미요뜨
1 year
얘들아 &&* 이게 별 보는 사람들이면 &&&&&&&&&&&&&&* 이건 천문학 동아리 맞잖아 &&&&&&&&&&&&&& 이건 허탕친 천문학 동아리 …
1
11K
6K
1
6K
3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months
도시에서 은하수를 찍을 수 있을까요? 적외선을 촬영할 수 있는 개조 카메라와 적외선 필터가 있다면 찍을 수 있답니다! 물론...엄청난 연습이 필요하네요 이제 막 입문했는데...앞으로 열심히 연습하겠습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3
3K
3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최대식 부근의 사진입니다. 너무,,, 피곤해서,, 사진 정리를 못하겟네요,,, 내일 하겟습니다
Tweet media one
2
834
2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핸드폰이라 그런지 잘 안 나오네요 8ㅁ8 망원경에 핸드폰을 대고 찍었습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0
412
1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2 days
유익하다!
Tweet media one
3
1K
1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저렇게 다닥다닥 붙지도 않습니다!!!
Tweet media one
0
1K
1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4 years
한편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금환 또는 개기일식은 2035년 9월 1일의 개기일식, 그리고 2095년 11월 26일의 금환일식입니다. 그 전까지는 부분일식만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관리자가 작년 12월 26일에 괌에서 촬영한 금환일식 사진입니다. #일식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1
2K
1K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2022.11.08 개기월식
Tweet media one
0
583
857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실제로 위험합니다. 자칫하면 소중한 굿즈가 타버려요 저도 알고싶지 않았습니다 1 피해굿즈와 원인 2 피해 상황 3 상황 재현...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Rainmaker1973
Massimo
1 year
If a plastic bottle is left in your car and the right amount of sunlight hits it at just the right angle, a car seat could catch fire. This video shows how [Midwest City Fire Department: ]
258
4K
11K
0
2K
820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6 months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별자리 체계로써 3원 4방 28수를 이용했는데요 여기서 3원은 태미원, 자미원, 천시원 입니다. 이 중 북극성(천구의 북극)을 포함하는 원은 자미원인데요. 하늘 나라의 임금이 살고있는 자미궁은 천구의 북극, 자미원에 위치해있었습니다.
@redgreenpalace
적녹콩
6 months
같은 분이 만드신 포스터인데 저는 이것도 좋더라구요 임금은 제자리를 지키며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으로, 백성과 신하는 북극성 주변을 회전하는 별로 나타낸 것입니다 영조와 정조가 추구했던 '황극 탕평'을 완벽하게 그림으로 표현했죠 의미를 처음 이해했을 때 오진다고 생각했습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1
10K
8K
1
881
841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7 months
오늘 달 아래의 밝은 천체는 바로 목성입니다!
Tweet media one
0
379
80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사실에 근거한 공격을 멈춰주세요 그래도 사건의 지평선은 잘 지었다구요...
@uhmgoon
1 year
작명 못하기로는 천체물리학자들이 끝판왕 아닐까... 빨갛고 큰별: 빨간 거인 하얗고 작은별: 하얀 난쟁이 빛이 못나오는 이상한 천체: 까만 구멍 우주의 팽창이 시작된 사건: 큰쾅!
1
9K
4K
2
1K
715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얼마 전 찍은 장미성운입니다! 다른 말로는 해골성운이라고도 하는데요. 해골 모양이 보이시나요?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2
363
69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사족이지만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그 의미가 깊은데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프로젝트 디렉터는 미국 사회에서 차별받던 흑인이며 적외선 촬영 관련 책임자는 여성 천문학자입니다. 인종과 성별, 다양성으로 차별받지 않고 모든 사람들의 능력이 존중되는 사회를 응원합니다.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이미지들의 추가 공개본입니다. 1. 용골자리 NGC 3324의 별 생성영역 2.페가수스자리의 스테판의 5중주 가운데 우측은 충돌은하 NGC 7318 3. 돛자리 남쪽고리성운 NGC 3132 4. 외계행성 WASP-96 b의 분광데이터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1
753
540
2
1K
705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오늘은 금성과 목성의 최대근접 날입니다. 둘 사이의 거리가 보름달 하나 정도 되는 크기로 가깝게 다가온다고 하네요. 오늘 해가 진 뒤 서쪽 하늘에서 보이는 두 행성의 만남을 꼭 확인해보세요!
Tweet media one
3
1K
683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천왕성을 발견한 사람은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여동생 캐롤라인 루크레티아 허셜이 사실상 최초의 발견자입니다. 당시의 사회적 풍습으로 인하여 여성이었던 캐롤라인 허셜의 공로는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윌리엄 허셜은 이를 밝히기 위해 노력했다고 합니다.
Tweet media one
@saiph1324
당신의 곁에 우주를 가져오는 사이프⭐
1 year
천왕성은 1781년에 발견되었지만 그때까지 남극 대륙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남극은 1820년에 발견되었습니다.
0
2K
1K
1
929
600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3 years
뉴질랜드에서도 오로라가 관측되었다고 합니다. 나름 뉴질랜드도 (오로라 관측에 있어서는)저위도라 그런지 색이 굉장히 붉네요.
@JonnyHarrisonNZ
Jonny Harrison
3 years
Aurora australis at 44° south (New Zealand) Straight from camera right now @TamithaSkov
Tweet media one
22
418
1K
1
1K
56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0 months
다들 달보고 좋은 하루ㅇ되세요!!!!
Tweet media one
0
431
54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이미지들의 추가 공개본입니다. 1. 용골자리 NGC 3324의 별 생성영역 2.페가수스자리의 스테판의 5중주 가운데 우측은 충돌은하 NGC 7318 3. 돛자리 남쪽고리성운 NGC 3132 4. 외계행성 WASP-96 b의 분광데이터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1
753
540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지금 행성들이 왠만한 별들보다 밝게 보이고 있는데, 저정도로 크게 보이도록 다가온다면....네...
1
476
52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5 months
가장 멀리 떨어진 외계행성 기록이 갱신되었다는 소식입니다. 기존 기록인 16960광년보다 5500광년 가량 늘었네요. 보통 멀리 떨어진 행성들은 미세중력렌즈 효과로 탐지하는데, 거리가 멀어질수록 무거운 행성들만 탐지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번의 경우 목성 질량의 29배 정도라고 하네요.
@NASAExoplanets
NASA Exoplanets
5 months
A newly discovered exoplanet is 22,472 light-years away. Traveling at the speed of @NASAVoyager (38,000 mph/61,000 kph), it would take us 397 *million* years to reach KMT-2018-BLG-0885L b.
Tweet media one
20
152
848
0
745
544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9 months
어제 하늘이 너무 맑았죠! 무려 목성과 가니메데가 함께 촬영되었습니다!
0
325
518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months
X급 규모의 플레어로 3단계 경보가 발생했었습니다. 현재는 1단계로 내려온 상태입니다.
Tweet media one
@_SpaceWeather_
SpaceWeatherLive
2 months
Major X4.52 flare from sunspot region 3663 Follow live on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15
320
912
0
1K
522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3 years
초승달은 크레이터의 음영을 가장 잘 관측할 수 있으면서도, 지구반영에 의한 지구조를 관측하기도 좋은 위상입니다. 맨눈으로 초승달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지구에서 반사된 빛이 달에서 다시 반사되어 보이는 지구조를 희미하게나마 볼 수 있습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1
405
518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6 months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패트릭 어윈 교수 연구팀이 보이저2호로 촬영한 해왕성 사진은 지나치게 파란색으로 색합성이 되었음을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망원경을 이용한 분광관측을 통해 실제 색상과 비슷하게 보정했다고 하는데요. 신기할정도로 색이 비슷합니다.
Tweet media one
2
946
50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오늘의 달
Tweet media one
0
240
503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안녕하세요. 오늘은 재미있는 천문학 행사를 소개시켜드리고자 합니다. 세종대학교 물리천문학과에서 매년 진행하는 대중천문학 행사 "별밤축제" 가 올해는 혜성과 오르트구름을 주제로 5월 26일 ~ 5월 27일에 진행됩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1
611
48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그렇기에 눈으로 보이는 수성, 금성, 지구(달), 화성, 목성, 토성이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순으로 배열되는 24일과 25일 새벽이 가장 적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태양광을 무시했을 때 태양광을 생각했을 때 ->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1
774
492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8 months
이것은 어제의 달입니다
Tweet media one
0
157
467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4 months
Tweet media one
@zxyo7
임 옥 택
8 months
천문학자들이 우울증에 걸리는건 연구는 많이 하고 하는건 많은데 막상 파도 파도 연구는 지지리도 진척이 안되고 돈은 벌리지도 않고 낮에도 일하고 밤에도 일해서 그런거지 인간에게 세상은 엄청 넓어서 우주의 먼지 그런거는 어... 어린이를 위한 편집이에요. 아무도 천문학자 안할까봐...
2
20K
9K
0
665
440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months
슬프게도... 구름이 좀 오락가락하네요 어제 밤에 한국에서 촬영에 (눈으로는 안보였다함) 성공하셨다는 분이 계시긴 합니다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months
어제 X5급 플레어가 폭발했습니다. 최근 얼마 전 폭발한 플레어의 영향으로 G5 경보까지 올라가며 전 세계 이곳저곳에서 오로라 관측 제보가 잇따르고있습니다. 사진은 한국보다 위도가 낮은 플로리다와 조지아의 사진입니다. 현재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권 국가들에서도 관측된다고합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7
8K
4K
0
459
433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오늘의 달~
0
189
38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0 months
어제 핸드폰으로 촬영한 목성입니다!!! 목성의 위성, 이오의 그림자가 목성에 드리운 모습입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1
244
387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3 years
누리호 발사 ㅡ 1단분리지점까지입니다
1
578
374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0 months
오랜만에 올리는...오늘의 토성입니다
0
215
380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오늘은 달과 금성이 가까이 붙어있는 날입니다! 해가 진 직후, 서쪽하늘을 바라보세요 (*´▽`)
Tweet media one
1
236
35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6 months
지구조(地球照, Earthlight)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0
200
362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이건 촛불 자체도 빛을 흡수(=optical depth > 0)하기 때문인데요, 이것의 가장 극단적인 예시가 식변광성의 광도곡선입니다. 광도가 다르고 optical depth가 무한인 두 광원인 경우라고 할 수 있겠네요.
Tweet media one
@HS_DDAE
게3) ㄸHㄸH
1 year
진짭니다 더 큰 광원 앞에 비교적 어두운 불을 가져다두면 그림자가 미약하게라도 생깁니다
Tweet media one
7
20K
11K
0
368
342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1 months
이 사진 하단에는... 물음표 은하가 숨겨져있습니다... ????????
Tweet media one
@NASAWebb
NASA Webb Telescope
11 months
Going goblin mode. Within the orange-white splotch at the center of this image are 2 chaotic baby stars. Over thousands of years, the pair repeatedly gobbled up, then spat out the gas and dust around them — producing those fiery orange lobes:
Tweet media one
127
2K
10K
0
342
345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초신성 잔해와 행성상 성운. 대개 거성의 죽음은 가스 '분출'로 이어지고, 초거성의 죽음은 폭발을 수반합니다. 이런 차이는 사진에서도 잘 드러나는데요, 거성의 잔해인 행성상 성운은 대개 대칭성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좌). 하지만 초신성 잔해들은 그렇지 않습니다(우).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2
192
321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윤하님의 앵콜 콘서트 포스터입니다. 제목이 C/2023YH네요. 혜성 명명법에 따르면 C/는 비주기 혜성으로, 대체로 공전주기가 엄청 긴 혜성들입니다. 2023년의 윤하님 콘서트는 더 없는걸까요,,,
Tweet media one
1
290
31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약... 두 시간 전입니다!!
Tweet media one
0
269
318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3 years
실트에 쌍둥이자리가 보이네요! 마침 오는 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의 극대기가 찾아옵니다.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약 1.4년의 공전주기를 갖는 소행성 3200 Paheton이 모체로, 올해는 ZHR 160 정도를 보인다고 합니다. @ Photograph : Malcolm Park
Tweet media one
1
606
32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months
고려시대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오로라가 관측되었는데요 "하늘이 찢어진다" 혹은 "하늘이 열린다"는 표현이 고려사 천문지에 기록되어있습니다. 2013년 보현산천문대에서도 오로라가 관측된 기록이 있습니다.
2
383
325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관측지 방문시 주의사항☆ 차를 타고 갈 경우 사진 촬영에 방해되지 않도록 진입시 전조등은 될 수 있으면 끄기! 별지시기 사용 지양하기! 핸드폰 라이트, 불빛나는 신발 등 불빛이 강한 물건은 피하기!(+최대한 붉은 라이트 사용)
@mytip_o_
꿀같은 팁 - 꿀팁
2 years
별 무수히 많고 아름답다는 국내 명소 정보 타래 날씨까지 좋으면 그 날은 진짜 눈호강이라고 함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Tweet media four
1
5K
9K
1
279
318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오늘 달은 굉장히 얇네요!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0
189
310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5 days
내일 새벽 행성들이 정렬됩니다!!!!
@StarWalk
Star Walk
26 days
6 planets on June 3! 🪐 Mercury, Mars, Jupiter, Saturn, Uranus, and Neptune will align in the morning sky. Discover how to observe them: 🌌
Tweet media one
8
190
508
1
475
313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months
도전해볼만할지도..
Tweet media one
0
210
314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다들 제 후기를 궁금해하시네요...! 집가서 끄적여봐야겠어요 (*´▽`)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천문학 이야기가 아니라서 죄송합니다ㅏ 그래도..저는 올해 마지막 별의 소식을 전해들으러 가겠습니다..
Tweet media one
0
129
235
1
533
29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어린이천문대에서 다양한 개기월식 행사가 진행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Tweet media one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오는 11월 8일, '개기월식'이 펼쳐집니다. 월식은 일식에 비해서 그 빈도가 높긴 하지만, 지금까지는 기상이 좋지 않아 근 4년 간 한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관측이 불가능했습니다. 약 2년 전에는 구름 사이로 희미하게 관측되었다고는 하네요.
Tweet media one
3
6K
5K
0
785
291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안녕하세요 천문학과 입니다. 저 별이 무슨 별자리냐고 물어보지 마세요. 저희도 모릅니다. 근데 저는 아니까 물어보세요 감사합니다.
@RUBI_mix_
슈팅스타🌠 (휴가 ~29일)
1 year
안녕하세요 컴퓨터공학과입니다 프로그램이 응답하지 않으면 저희도 눈물을 머금고 프로그램 닫기를 누릅니다 감사합니다.
Tweet media one
7
10K
6K
0
304
283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오는 12월 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의 극대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시간당 최대 갯수는 150개로, 관측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Tweet media one
1
477
288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오는 8월 12일-13일,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극대기가 찾아옵니다 올해의 ZHR은 90으로, 이는 이상적인 관측지에서 복사점이 천정일 때의 시간당 관측 개수입니다. 다만, 현실적인 요소들을 반영하면 일반적인 도심지 근처의 관측지에서는 10개 이상을 보기 힘들 것 같습니다.
Tweet media one
1
640
28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작년과 올해 1년 간격으로 찍은 알프스 산맥의 일부. 인류가 당장 모든 화력발전소와 공장을 닫아도 모자란 형국입니다.
@ESA_EO
ESA Earth Observation
1 year
It has been an unusual winter for the Alps. These 2⃣ satellite images from @CopernicusEU #Sentinel2 were captured about one year apart (Jan '22 vs '23) - they show the alarming difference in snow coverage in the Swiss Alps. Notice how the ski slopes stand out in the 2nd image.
15
169
456
0
990
27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저는 오늘 이천으로 뮤지컬을 보러 왔습니다!! 천문학 뮤지컬이라니 가슴이 두근두근하네요 (*´▽`)
Tweet media one
1
263
27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오늘의 달입니다. 유성우와 함께하는 좋은 밤 되세요
Tweet media one
0
174
270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이번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가, 빈센트 반 고흐(Vicent van Gogh)가 1888년 9월 경 그린 론 강의 별이 빛나는 밤 (Nuit étoilée sur le Rhône)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고흐가 사랑했던 밤하늘이 담겨있는 그림인 만큼, 천문학적으로 분석할 부분은 당연히 있을텐데요.
Tweet media one
1
179
25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트위터 돌다가 어떤 연예인...?분의 촬영 현장을 보게 되었는데... 저렇게 하면 망원경이 자칫하다 망가지니 조심하셔야 합니다ㅏ
Tweet media one
1
152
257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혹시 승객분들중에서 천문학과 손님 계신가요 예 제가 천문학과입니다. 혹시 저 별이 무슨 별인가요? 남반구 별자리라 모르겠습니다
@hyekkim
혞(暳)
2 years
나도 비행기에서 승무원이 내 직업을 긴급하게 찾아서 내가 일어나고 싶다 근데 내 직업은 구조설계 엔지니어임 비행기에서 찾으면 큰일남
4
15K
8K
1
367
258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오늘의 가장 큰 홍염입니다.
Tweet media one
0
79
244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오늘의 목성입니다!!
Tweet media one
1
74
24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결과물입니다~!
Tweet media one
1
119
24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7 months
15일 새벽 4시, 쌍둥이자리 유성우의 극대기입니다. 시간당 최대 120개가 관측 가능할 예정입니다(광공해에 따라 다름!) 다만 기상 상황은 16일 즈음에 좋아질 예정입니다. 달도 밝지 않고 금방 질 예정이니 그 때를 노려보세요!
Tweet media one
1
265
24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천문학 이야기가 아니라서 죄송합니다ㅏ 그래도..저는 올해 마지막 별의 소식을 전해들으러 가겠습니다..
Tweet media one
0
129
235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눈을 떴다는 것에 감사하기..
@MAstronomers
Curiosity
1 year
You wake up at 2 a.m. look up and see this. What’s your first words?
Tweet media one
7K
2K
26K
1
151
23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3 months
제가 생각하는 제일 예쁜 천체는 바로 이,,, 물음표 은하인 것 같아요! 인류가 우주를 향해 던지는 끝없는 물음표를 상징하는 것 같아 첫 발견 때부터 맘에 들어하고 있습니다
Tweet media one
@zzzyzxzy
천문학 덕질용 계정
3 months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가 선정하는 제일 예쁜 천체가 있나요?
0
0
1
1
149
23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7 days
도심(?) 은하수 2호작,,, 오사카성(大阪城) 은하수입니다! 여러 구도로 여러 장 찍었는데 가장 성이 멋지면서 은하수 구도가 좋은게 이 구도였네요! 실제로 볼 수 없어서 그런지 제법 몽환적인 풍경입니다 ! 일본으로 흘러갈 수 있게 일본이름도 적어주기 #大阪 #大阪城 #天の川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2
216
24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한장 더 주워왔습니다!
Tweet media one
0
92
22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months
2023.05.03 은하수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2
115
228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오늘 찍은 태양 사진입니다. 굉장히 흑점이 많이 보이는데요. 점점 극대기로 달려가는 태양의 모습이 독보적입니다. ⚠️태양은 태양필터 등의 안전장비가 있는 상태로 관측하세요.⚠️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1
144
213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4 months
놀랍게도 이 영상은 핸드폰과 삼각대로 단 5초의 세팅 끝에 촬영했습니다! 먼저 카메라에서 하이퍼랩스 모드에 들어갑니다. 그다음 1번 부분을 눌러 300배 설정을 하고 2번을 눌러 별궤적모드를 누릅니다. 마지막으르 3번을 눌러 촬영할 시간(단위:분)을 선택하고 촬영하면 끝!!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4 months
0
62
96
1
194
215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다만, 태양이 가깝고 수성의 고도가 낮기 때문에 달, 화성, 목성, 토성 만을 생각하시거나 동쪽~남쪽 시야가 훤히 트여있는 섬의 바다 등으로 찾아가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모두 우주가 보여주는 즐거운 행사를 만끽하시기 바랍니다.
1
200
213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3 years
잘못된 정보입니다. 월식은 보름달일때 발생하기에, 크레이터에 그림자가 안생깁니다. 그림자가 생긴다는 것은 태양빛이 경사져서 들어온다는 것이므로 보름달일 수 없습니다. 저 사진은 그저 상현달의 사진이며, 망원경이 좌우반전이기에 왼쪽으로 차있는 모습일 뿐입니다.
@gong_uwo
계이
3 years
내 친구 달 월식 찍엇엇대 미친놈
Tweet media one
2
3K
4K
1
677
205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오늘 달은 아주 작네요
Tweet media one
0
55
198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months
오늘은 보름달이었는데, 다들 보셨나요? 달에는 다양한 지형들이 있는데요. 주로 과학자/철학자의 이름을 붙이고는 합니다. 가장 유명하고 크게 보여서 보름달에도 관측할 수 있는 크레이터들을 소개합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1
143
208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months
오늘의 태양은...흑점이 굉장히 많습니다
Tweet media one
0
71
206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year
이 사진은 궁수자리 쪽에 존재하는 W33 거대분자운 인근입니다.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적외선 영역을 통해 촬영한 사진인데요. 머지않아 킹콩 성운도 나오길 바래보며..
@DlNO_TV
허짱현
1 year
나사 개호감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3
9K
5K
0
139
184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7 months
큰거온다....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천문학 이야기가 아니라서 죄송합니다ㅏ 그래도..저는 올해 마지막 별의 소식을 전해들으러 가겠습니다..
Tweet media one
0
129
235
0
341
192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7 months
높은 확률로 오로라가 아닙니다. 오로라는 저렇게 뚜렷한 경계선을 보이지 않습니다.
@HenryKim957167
milly 00
7 months
핀란드에서 관측된 희안한 오로라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Tweet media three
14
5K
6K
0
206
179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1 month
2024년 제 44회 별밤축제가 개최됩니다! 매 년 저희가 홍보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올해는 [ 해마당 ] 이라는 주제로 태양과 태양계에 관련된 내용이 진행된다고합니다~ 천문학 키트 만들기와 판넬 설명,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을 포함하여 플라네타리움과 교수님 강연이 진행됩니다.
Tweet media one
1
237
177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3 months
오늘은 어스아워입니다! 20 : 30 부터 1시간 동안의 어둠을 통해 더 밝은 미래를 응원하는 데 동참해주세요.
Tweet media one
0
429
178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좋은 밤입니다.
Tweet media one
0
69
173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어제 결과물입니다!
Tweet media one
Tweet media two
2
60
170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4 years
안녕하세요 AOP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트위터 내에서 수요를 받아 온라인으로 천문학강연을 진행해볼까합니다. 두ㅡ세개의 주제를 각 2-30분 정도 진행하고자하며, 천문학에 대한 간단한 이론이나 재미있는 이야기들. 천체사진 촬영법 등을 생각하고있습니다.
1
198
168
@Astro_inform
천문학정보계-AOP
2 years
어제의 결과?입니다-!-!
Tweet media one
1
60
166